SSD의 종류는 크게 NVMe | M.2 | SATA3 타입이 있는데요. 선택하시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SSD 추천 제품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NVMe, M.2, SATA등은 인터페이스(폼 팩터)에 따라 구분이 되며 그에 따른 속도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속도가 빠른것이 SSD를 사용하는 이유이지만 그만큼 가격차이도 있습니다.
타입을 고르셨다면 마지막으로 용량을 선택하시면 되는데요. 이 포스팅을 통해 본인의 PC 혹은 노트북, NAS 등에 필요한 SSD 타입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BEST 7+ NAS 추천 구매가이드 시놀로지 나스 +
BEST 7 모니터 추천 필수 옵션 체크리스트 2023
SSD 추천 TOP 7 종류 NVMe | M.2 | SATA 2023
SSD 빠르게 알아보기
바쁘신 분들은 아래 빠른 비교 탭을 통해 가볍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상단 7개의 탭을 클릭하시면 간단하게 상품 정보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01.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500GB
02. 마이크론 Crucial SSD 500GB
03. WD Blue SN570 M.2 2280 NVMe 1TB
04. 삼성전자 870 EVO SATA SSD 500GB
05.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1TB
06. 마이크론 Crucial SSD MX500 1TB
07. 기가바이트 240GB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500G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3, DDR4
- TLC(기타), 3D낸드
- SK 하이닉스 Cepheus
WD Blue SN570 M.2 2280 NVMe 1T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4
- TLC(기타), 3D낸드
삼성전자 870 EVO SATA SSD 500G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DDR4 512MB
- 삼성 MKX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1T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3, DDR4
- TLC(기타), 3D낸드
- SK 하이닉스 Cepheus
마이크론 Crucial SSD MX500 1T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 실리콘모션 SM2258
SSD 종류 NVMe M.2 SATA
SSD의 구조
SSD는 저장 공간의 최소단위가 페이지로 구분되며, 페이지 간 물리적인 걸리와 상관없이 병렬 처리가 가능합니다.
AHCI(SATA) 기반의 SSD는 일반하드(HDD)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지만, NVMe(PCIe)는 병렬처리에 최적화되어 SSD의 성능 또한 극대화 됩니다.
SSD 크기(폼팩터) 종류
SSD의 폼펙터(디스크 타입)는 SSD의 외형을 말합니다.
SSD의 외형은 주로 2.5형 / M.2(2242, 2260, 2280) / mSATA / PCIe 카드로 구분됩니다.
용도에 따라 폼펙터를 고르면 되는데, 자신의 PC 또는 노트북의 여유 공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M.2 (NGFF)
- 노트북과 PC에 모두 사용가능
- SATA 또는 NVMe(PCIe)로 나뉩니다.
- 2.2 x 8cm의 매우 작은 크기입니다.
- 메인보드의 전용 소켓에 장착하여 케이블이 필요없습니다.
2.5인치 SSD
- 거의 모든 PC 및 노트북에 사용가능
- 대부분 SATA 방식입니다.
- 케이블 연결이 필요합니다.
mSATA
- 태블릿이나 노트북에 사용합니다.
- SATA 방식만 사용
- 2.5인치 SSD의 1/8 크기
- 메인보드 전용 소켓에 장착, 케이블 불필요
SSD 속도
- SSD/HDD(SATA3) 기준 0.75GB/S
- NVMe SSD PCIe3.0 기준 3.9GB/s, PCIe4.0 기준 7.9GB/s
SATA | PCI Express(NVMe) | |
하드 디스크와 광학 디스크(CD, DVD 등)를 목적으로 만든 방식 | 컴퓨터의 각종 장치들과 CPU가 통신하기 위해 만든 방식입니다. 최대 16개의 레인을 사용하여 대역폭을 16배까지 늘릴 수 있으나 M.2 NVMe는 4개의 레인을 사용합니다. | |
SATA3 | PCIe 3.0x4 | PCIe 4.0x4 |
이론 속도 750MB/s 실제 읽기 약 560MB/s | 이론 속도 3,989MB/s 실제 읽기 약 3,500MB/s | 이론 속도 7,877MB/s 실제 읽기 약 7,400MB/s |
SSD 용어 기능
컨트롤러
컨트롤러는 SSD의 전반적인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뇌에 비유하며,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열어보는 등의 동작을 제업합니다.
컨트롤러는 안정성으로 유명한 마벨과 가성비 좋은 파이슨이 대표적입니다.
NAND FLASH
낸드 플래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종류는 SLC, MLC, TLC, QLC가 있으며 순서대로 가격이 비쌉니다. 성능은 가격과 비례한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최근에는 기술이 좋아져 저렴하고 안정적인 TLC SSD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SSD 추천 TOP 7
01.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500G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3, DDR4
- TLC(기타), 3D낸드
- SK 하이닉스 Cepheus
02. 마이크론 Crucial SSD 500G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 실리콘모션 SM2258
03. WD Blue SN570 M.2 2280 NVMe 1T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4
- TLC(기타), 3D낸드
04. 삼성전자 870 EVO SATA SSD 500G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DDR4 512MB
- 삼성 MKX
05.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1TB
- M.2 (2280)
- PCIe 3.0×4 (32GT/s)
- NVME 1.3, DDR4
- TLC(기타), 3D낸드
- SK 하이닉스 Cepheus
06. 마이크론 Crucial SSD MX500 1T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 실리콘모션 SM2258
07. 기가바이트 240GB
- 6.4cm(2.5인치)
- SATA3 (6Gb/s)
- TLC(기타)
제휴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